[BEAKJOON] 백준 17299번 : 오등큰수, 파이썬 Python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299 17299번: 오등큰수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에 수열 A의 원소 A1, A2, ..., AN (1 ≤ Ai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www.acmicpc.net 문제 해결 프로세스 해당 값을 모두 카운트해주고, 그 카운트해준 값을 앞서 오큰수를 푼 방법대로 접근해주면 된다. list_count 는 모두 0으로 해서, 크기를 1000000 해줬는데, 1000000값이 들어올때는 indexError가 뜬다. 그래서 1000000이 아닌, 1000001의 크기로 할당해주어야한다. for로 카운트를 해주고, 카운트한 값을, 원래 값에 매칭해서 대입해준다. 앞서 백준 1729..
[BEAKJOON] 백준 17298번 : 오큰수 - 파이썬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298 17298번: 오큰수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(1 ≤ N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 수열 A의 원소 A1, A2, ..., AN (1 ≤ Ai ≤ 1,000,000)이 주어진다. www.acmicpc.net 문제 크기가 N인 수열 A = A1, A2, ..., AN이 있다. 수열의 각 원소 Ai에 대해서 오큰수 NGE(i)를 구하려고 한다. Ai의 오큰수는 오른쪽에 있으면서 Ai보다 큰 수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수를 의미한다. 그러한 수가 없는 경우에 오큰수는 -1이다. 예를 들어, A = [3, 5, 2, 7]인 경우 NGE(1) = 5, NGE(2) = 7, NGE(3) = 7, NGE(4) = -1이다..
[백준/BEAKJOON] 2089번 -2진수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089 2089번: -2진수 -2진법은 부호 없는 2진수로 표현이 된다. 2진법에서는 20, 21, 22, 23이 표현 되지만 -2진법에서는 (-2)0 = 1, (-2)1 = -2, (-2)2 = 4, (-2)3 = -8을 표현한다. 10진수로 1부터 표현하자면 1, 110, 111, 100, 101, 11010, 110 www.acmicpc.net 문제 -2진법은 부호 없는 2진수로 표현이 된다. 2진법에서는 20, 21, 22, 23이 표현 되지만 -2진법에서는 (-2)0 = 1, (-2)1 = -2, (-2)2 = 4, (-2)3 = -8을 표현한다. 10진수로 1부터 표현하자면 1, 110, 111, 100, 101, 11010, 1101..